티스토리 뷰

목차



    서울 지하철에는 많은 인원이 이용을 한다 하루에 수백만명이 이용을 하는데 그중에는 여름철에 더위를 많이 느끼는 사람도 있고 아닌 사람들도 있다.

    지하철에서 냉방은 모든 차량이 같은 온도로 운행되지는 않는다 지하철 약냉방칸에 대해서 알아보자.

     

     

     

    ✅냉난방 민원접수는 고객센터 1577-1234 또는 아래 챗봇 바로 가기를 통해 접수해주세요.

     

     

     

     

     

     

     

     

     

     

     

     

     

    지하철 약냉방칸 서울시

    올여름 더위가 잦아들 것이라는 전망으로 지하철에서는 이미 기온전쟁이 시작됐다. 

    서울교통공사(사장 백호)는 체감온도를 바탕으로 여름철 냉방열차에서 시원하고 쾌적하게 지내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가장 시원한 장소는 취약 승객을 위한 배려석 부근.. 추우면 차량 중앙으로 이동하면 온도차가 조금 있습니다.

     

     

    ✅열차 내부의 찬 공기 흐름으로 인해 취약한 승객을 위한 객실 양쪽 끝 부분의 온도가 가장 낮고 중앙 부분의 온도가 가장 높습니다. 선호하는 온도에 따라 좌석을 조정하면 편안함이 향상됩니다.

     

    ✅에어컨 가동 시 열차 내 온도를 측정한 결과 좌석 위치에 따라 2~4도 정도 차이가 나며, 열차가 혼잡할 경우 최대 6도 정도 차이가 납니다. 이는 같은 열차에서 어떤 승객은 덥다고 느끼고 다른 승객은 춥다고 느끼는 이유를 설명합니다.

     

    ✅추위를 많이 느끼시는 분들은 일반 칸막이보다 1°C 높게 설정한 약냉각 칸막이를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약간 냉각된 구획은 라인 1, 3, 4의 4번째와 7번째 구획입니다. 5, 6, 7행의 4번째와 5번째; 8호선 3,4호선. 2호선은 혼잡도가 높아 이런 칸이 없습니다.

     

    ✅여름에는 일반 열차 객실의 에어컨 온도가 24°C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지하철약냉방

     

     

     

     

     

    1호선~8호선 일반칸의 온도는 24℃

    약냉방칸의 온도는

     

    1호선 : 25 ℃

    2호선 : 24 ℃

    3호선 : 25 ℃

    4호선 : 25 ℃

    5호선 : 26 ℃

    6호선 : 26 ℃

    7호선 : 26 ℃

    8호선 : 26 ℃

     

     

     

    열차가 혼잡할 경우 객실 내 온도가 올라가기 때문에 공사 공식 앱인 또타지하철에서 혼잡도가 낮은 칸을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냉난방칸 불편 민원

    평년보다 더위가 일찍 시작한 올해는 냉난방 불편 민원이 4월부터 급격히 늘었으며, 6월 1일부터 14일까지 총 불편 민원 59,386건 중 냉난방 불편 민원(‘덥다’ ‘춥다)이 51,145건으로 86.1%를 차지한다.

     

    ✅ ‘덥다’ ‘춥다’ 냉난방 불편 민원(‘24년 1월~6.14)

     

     

     

    구분 합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2024년 335,827 23,171 28,331 35,940 90,967 106,273 51,145

     

     

    ✅냉난방 민원접수는 고객센터 1577-1234 또는 아래 챗봇 바로 가기를 통해 접수해주세요.

     

     

     

     

    지하철약냉방

     

     

     

     

     

    민원이 늘어나면서 열차 승무원들은 쾌적한 객실 환경을 보장하기 위해 냉난방 관리와 안내 방송에 힘쓰고 있습니다.

     

    6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여름철 러시아워에는 승객 혼잡도에 따라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모든 에어컨 장치와 송풍기가 작동됩니다.

     

    또한, 냉방 불만이 발생할 경우 이해 안내 방송을 진행하여 승객의 불편을 최소화할 예정입니다.

     

     

     

     

     

     

     

     

     

     

     

     

     

     

     

     

    반응형